본문 바로가기
테마 지리/지형과 기후

지구의 보물창고 바다

by honey-lucy 2022. 7. 24.
반응형

 

 

지구는 물의 별

 

우리가 사는 지구의 3분의 2는 바다로 덮여 있습니다. 그중 특히 넓고 큰 바다를 대양이라고 부릅니다. 대양에는 태평양과 대서양, 인도양 그리고 북극해와 남극해가 있습니다. 대양보다 작은 바다는 그냥 바다라고 합니다. 이 중 가장 넓고 깊은 대양인 태평양은 지구 표면의 32% 정도를 덮고 있습니다.

바다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전 세계의 기온을 조절하기도 하고 비나 눈이 되어 내리는 물의 원천이기도 합니다. 그 외에도 우리에게 먹을거리와 지하자원을 제공해주는 곳입니다.



지구 전체의 물 분포도

지구상에 존재하는 물은 대부분 소금기가 녹아 있는 짠 바닷물입니다. 바닷물은 97.2%이며, 짜지 않은 담수는 지구 전체의 물에서 2.8% 정도입니다. 그나마도 대부분 꽁꽁 언 빙하로 담수 중 2.15%는 빙하이며 지하수가 0.62%, 기타 호수, 강, 토양, 대기에 있는 물이 0.03%입니다. 그러니까 실제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물인 강과 호수 지하수 등이 차지하는 물의 양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물의 1퍼센트도 안 되는 셈입니다.



해류와 조수
바닷물이 움직이는 것은 해류와 조수 때문입니다. 해류는 바다에 부는 바람 때문에 일어나는 바닷물의 흐름을 말합니다. 거대한 해류의 움직임으로 따뜻한 바닷물은 추운 지역으로 흘러가기도 하고, 물이 차가워지면 다시 따뜻한 지역으로 흘러갑니다. 이와 같은 해류 때문에 바다에 둥근 모양의 해류가 생깁니다.

조수는 달의 인력에 의해서 바닷물이 주기적으로 밀려들어 왔다가 빠져나가는 것을 말합니다.

달이 바닷물을 끌어당기기 때문에 바닷물의 수면이 높아지는 현상입니다. 밀물이 들어와 수면이 가장 높아질 때를 만조, 썰물이 져 수면이 가장 낮아질 때를 간조라고 합니다. 만조와 간조는 6시간마다 반복된답니다.

 

 

 

 

바닷가

 

사람들의 정착

수천 년 동안 사람들은 강이나 바닷가에 정착해 살았습니다. 옛날에는 대부분의 물건을 배로 실어 날랐기 때문에 강이나 바닷가가 살기 좋은 곳이었습니다. 무역상들은 여러 가지 물건을 사고팔기 위해 전 세계 구석구석을 오랜 시간 동안 배를 타고 먼 거리를 이동해 다녔습니다.

 

오늘날에도 지구촌 인구의 절반 이상이 바다와 접한 도시에 살고 있습니다. 대부분 좋은 항구가 있는 곳입니다. 원래부터 좋은 항구가 들어설 수 있는 자연환경을 갖춘 도시도 있지만 인공적으로 만든 곳도 있답니다.

 

미국의 캘리포니아주에 있는 샌프란시스코는 좋은 항구가 될 수 있는 자연환경을 갖춘 도시입니다.

2000년 전 무역의 중심지였던 그리스 피레우스 항구는 주로 곡식을 수입하고 꿀과 은을 수출했습니다.

 

 

 

 

해양자원의 보호

전 세계 수많은 나라들이 자기 나라의 바다를 지키기 위해 노력합니다. 바다에서 엄청난 자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고기와 해조류 등의 해양생물자원을 비롯해 석유와 천연가스 철 등의 광물 자원도 얻을 수 있습니다. 오늘날 세계는 한 나라의 해안에서 320km 떨어진 곳까지를 그 나라의 바다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변화하는 해안의 모습

해안의 모습은 쉬지 않고 변합니다. 거친 파도에 바위가 깎여나가기도 하고, 강한 바람과 해류에 돌과 모래가 실려와 해안에 쌓이기도 합니다. 어떤 해안은 조금씩 깎이며, 또 다른 해안은 모래와 흙 등이 더해지면서 모양이 변합니다.

 

바닷가에서는 대부분 등대를 볼 수 있습니다. 등대는 항해하는 배들에 올바른 길을 안내하기도 하고, 주변에 암초를 조심하라는 주의를 주기도 합니다. 등대마다 보내는 불빛도 다르고 모양도 달라서 선원들은 등대만 보아도 지금 있는 곳이 어디인지 알 수 있답니다.

 

 

 

 

바닷속 미지의 세계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우리는 바닷속까지 탐험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때문에 오늘날 우리는 옛날 사람들보다 바다에 대해 훨씬 더 많은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과학자들은 바다에 사는 생물체나 해류의 움직임, 바다 밑바닥 등 바다에 관련된 수많은 것들을 연구합니다. 바다가 지구의 기후에 미치는 영향도 중요한 연구 대상입니다.

바다를 연구하는 배에는 깊은 바다를 탐험할 때 쓰는 잠수정이 있습니다. 잠수정에는 한두 사람 정도가 탈 수 있지만 사람이 들어갈 수 없을 정도로 깊고 좁은 곳에서는 작은 무인 잠수정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로버트 발라드 박사

로버트 발라드 박사는 미국의 해양과학자입니다바닷속을 수없이 탐험해서 위대한 발견을 많이 했습니다.

1973~1974 : 대서양 바닷속에서 에베레스트산보다 높은 해저산을 발견했습니다.

1977 : 남아메리카의 에콰도르 근처 바닷속에서 온천을 발견했습니다.

1979 : 미국의 캘리포니아 앞바다에서 해저 화산을 발견했습니다.

1985 : 1912년 대서양에서 빙산과 충돌하여 침몰한 타이태닉호 잔해를 발견했습니다.

 

 

 

 

 

바닷속 세상

 

바다 밑도 육지와 비슷한 모양으로 바다 밑에도 화산과 계곡, 병원과 언덕 등이 있습니다. 바닷속 깊은 곳에는 가파른 절벽처럼 깎아 내려가는 해구라는 지형도 있습니다. 가장 깊은 해구는 무려 11km가 넘는다고 하니 육지에서 가장 높은 에베레스트산보다 높은 셈입니다.

과학자들은 음파를 이용해 바다 및 지형을 연구하기도 합니다. 바닷속으로 음파를 보내면 반사되어 나오는 모양을 보고 어떤 모습인지 알 수 있습니다.

바닷속 지도를 그릴 때는 글로리아라는 장비를 이용합니다. 글로리아는 음파를 보내고 반사된 것을 측정하는 기구입니다.

바닷속에 사는 생물은 크게 세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해류를 따라 떠다니는 플랑크톤이라는 작은 생물이 있고, 물고기와 고래처럼 바닷속을 헤엄쳐서 다니는 생물, 그리고 바위나 진흙 바닥에 붙어 있거나 그 위를 기어 다니는 해면동물이 있습니다.

육지의 생물과 마찬가지로 바닷속 생물 역시 식물을 먹거나 다른 동물을 잡아먹습니다. 이렇게 먹고 먹히는 관계로 얽혀 있는 것을 먹이사슬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자연생태계는 어떤 생물 하나만 이상이 생겨도 전체 먹이사슬이 무너져 버린답니다.

고래와 상어처럼 덩치가 큰 바닷속 동물은 다른 물고기나 바다표범을 잡아먹습니다. 물고기와 바다표범은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고, 작은 물고기는 플랑크톤을 먹습니다. 이렇게 바닷속 생물체는 모두 먹이사슬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바다에서 얻는 것들

 

고기잡이
바다에서 잡은 물고기는 사람들에게 중요한 식량입니다. 인구가 증가할수록 어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더욱 바빠집니다. 물고기를 좀 더 많이 잡기 위해 다양한 그물을 사용하는데 그 대표적인 그물에는 저인망, 건착망, 유자망 등이 있습니다.

우리가 먹는 물고기는 대부분 가까운 바다에서 잡힌답니다. 어선에는 그물로 잡은 물고기가 죽거나 상하지 않도록 배 안에 물고기를 신선하게 저장해두는 장비가 있습니다.

물고기는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 내륙 담수 어업 순으로 많이 잡힙니다.



유자망 어업
흘림걸그물이라고도 하는 이 그물은 길이가 5km 정도나 되는 것도 있습니다. 유자망을 사용하면 물고기가 많이 잡히지만, 보호해야 할 돌고래와 바다표범, 거북, 고래 등이 함께 잡히는 단점이 있어서 1993년 이후로 사용이 금지되었습니다.



소금밭
전 세계에서 한 해에 생산하는 소금의 양은 약 2억 3천만 톤 정도 됩니다. 주로 짠 바닷물을 증발시켜 생산합니다. 수백만 년 전에도 지금과 똑같은 방법으로 바닷물을 증발시켜서 소금을 얻었습니다.

생산되는 소금의 대부분은 화학약품을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 우리가 먹는 소금은 전체 생산량의 4% 정도밖에 안 된답니다.

소금을 얻는 곳을 염전이라고 합니다. 소금밭이라는 뜻입니다. 밭처럼 생긴 곳에 바닷물을 채우고 물이 증발하기를 기다리면 소금이 남게 됩니다. 옛날 로마제국 군인들은 소금을 월급으로 받기도 했답니다.



바다 농장
중국 사람들은 수천 년 전부터 물고기를 키워서 식량으로 사용했습니다. 양식장에서는 물고기뿐만 아니라 미역과 조개, 굴, 새우, 홍합 등도 키울 수 있습니다.

굴 양식장은 주로 해초가 많은 곳에 세우는데, 굴이 해초를 먹고 살기 때문입니다. 굴은 쟁반 같은 판이나 나무 막대기에 붙어서 자라는데, 18개월에서 3년 정도 자라면 시장에 내다 팔 수 있습니다. 우리가 먹는 굴의 대부분은 양식장에서 기른 것이랍니다.

바다에 사는 해초의 종류는 7천 가지가 넘습니다. 해초에는 비타민과 미네랄이 많이 들어 있어서 건강에 좋답니다. 김밥을 만드는 데 쓰는 김도 영양소가 풍부한 해초입니다.



진주가 생겼어요!
굴이나 진주조개의 껍데기 안에서 자라는 진주는 매우 귀한 보석입니다. 오늘날 진주는 대부분은 따뜻한 바닷가의 양식장에서 기른 것입니다. 진주를 잘 자라게 하기 위해서는 3년 된 굴이나 진주조개 속에 아주 작은 이물질을 넣어주어야 합니다. 그런 다음 양식장의 바닷물 속으로 돌려보냅니다. 그 작은 이물질을 싸고 진주층이 커지면서 진주가 자랍니다.

진주가 잘 자라도록 1년에 두 번씩 굴을 꺼내어 껍데기를 깨끗하게 닦아줍니다. 그렇게 1년에서 3년 정도 지나면 아름다운 진주가 탄생합니다. 하지만 진주가 열리는 것은 스무 개의 굴 중에서 하나 정도밖에 되지 않습니다.

옛날 사람들은 진주를 품은 굴을 채취하기 위해 직접 물속으로 들어갔습니다. 그때는 잠수 장비가 없었기 때문에 사람들은 물속에서 숨을 참고 굴을 채취해야 했습니다.



석유를 얻어요
바닷속에서 얻을 수 있는 가장 귀중한 자원 가운데 하나는 바로 석유입니다. 전 세계에서 사용하는 에너지 중 절반가량이 석유로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석유는 육지나 바다의 깊은 땅속에서 숨겨져 있습니다. 바다 밑의 석유를 뽑아내기 위해서는 특별히 만든 석유시추선이 바다 한가운데에 떠서 작업을 해야 합니다.

한 척의 석유시추선은 바다 밑에 약 50개 정도의 구멍을 뚫어서 석유를 뽑아 올립니다. 그렇게 생산하는 양이 하루에 수백만 배럴이나 됩니다. 대부분의 석유시추선은 25년가량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석유시추선마다 수백 명의 사람이 필요합니다. 한 번에 몇 주씩 교대로 일합니다. 필요한 물품을 나를 때나 사람들이 교대할 때는 헬리콥터를 이용한답니다.



석유란 무엇일까요?
식물과 동물이 땅속에 묻혀 수천 년의 시간이 흐르면 그 위로 여러 층의 흙과 바위가 덮입니다. 죽은 생물의 사체는 위에서 누르는 압력과 열로 인해 석유로 바뀌게 됩니다.

 

반응형

'테마 지리 > 지형과 기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의 강, 세계의 호수, 세계 3대 폭포  (0) 2022.07.26
고마운 강 이야기  (0) 2022.07.25
세계의 산맥, 세계의 산  (0) 2022.07.23
얼음의 땅, 남극과 북극  (0) 2022.07.22
세계의 초원  (0) 2022.07.21

댓글